top of page
검색

“의사과학자 양성, 응용의학으로 전략 변화 필요” 정광성 기자 입력 2025.04.22 12:41

  • zenayo
  • 12분 전
  • 2분 분량

융복합 교육‧연구 센터, 교차형 교육과정 등 제시 포가연구원 김완욱 원장 “의대과정 중 연구경험 제공해야”


[의학신문·일간보사=정광성 기자]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의사과학자가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의사과학자 양성 전략이 응용의학으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시됐다.

포스텍-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이하 포가연구원) 김완욱 원장<사진>은 22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한국형 하버드-MIT 융합기술의학(HST) 모델 구축을 위한 국회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완욱 원장은 “의학-공학 융합의사과학자 양성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 한계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라며 “기존 연구주도형 의사에서 가치창출형 의사로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의료연구환경은 AI, 로봇공학, 재생의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의료의 패러다임이 예측의료(Predictive Medicine), 맞춤의료(Personalized Medicine), 예방의료(Preventive Medicine), 참여의료(Participatory Medicine) 등 일명 P4를 중심으로 변화하며, 디지털 기반 의공학융합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도 복지부가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2019년),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2022년), 과기부가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2002년), 의사과학자 양성(2022년), 혁신형 미래의료 연구센터(2023년) 등의 사업을 통해 의사과학자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노력과 부처별 다양한 사업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아직은 미흡하다”며 “지난 2019년 이후 박사과정을 수행 중인 140명을 지원했지만 이는 전체 의대졸업생의 1.6% 수준으로 3%까지 확대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우 NIH/NIGMS(펀딩) 주관으로 MSTP 및 하버드-MIT 간 의대-공대 자발적 협동프로그램 HST등을 통해 매년 미국 의대 졸업생의 3%인 600여명을 MD-Ph.D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하버드-MIT(HST),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칼일리노이 의대의 의학-공학의 융합연구교육을 통해 전체 의대생의 약 4%가 MD-PhD 프로그램에 지원하도록 변화를 이끌어냈으며, 이렇게 육성된 의사과학자는 노벨 생리학상 수상자의 약 37% 및 상위 10개 제약회사 최고 과학자 책임자 중 70%를 차지하는 성과를 낸 바 있다.


이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과기특성화 대학과 의과대학의 협력을 통해 △공동연구센터 구축 △공동 시설 및 장비 △인력 교류(상호 겸임교수 임용) 등 공동연구환경을 조성하고, △공동커리큘럼 개발 △학생교류 프로그램 개발 △공동학위 수여 등 공동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원장은 “의학-공학 융‧복합 연구 혁신을 위한 공동연구센터 운영 및 의대과정 중 연구경험 제공과 이공계 지식습득 등 교차형 교과과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의사과학자 과정과 의과학자 및 의공학자 과정으로 나눠, 전자의 경우 가톨릭의대 6년 포스텍 4년의 교육을 후자의 경우 포스텍학부 4년 가톨릭의대 본과 4년, 양 대학에서 3년 총 11년의 교육을 통해 MD-Ph.D 공동학위를 수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어 그는 “또 연구전담 전공의‧전임의‧교수 제도를 통해, 연구중심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이를 위해 주 3~4회 특별연구시간 할애 및 진료부담 경감, 연구비 지원 등 전주기 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공동 산학 컨소시엄 구축 △벤처기업 지원 프로그램 △세일즈 및 마케팅 등을 통한 공동 사업화 역시 시도해야 한다는 게 김완욱 원장의 주장이다.


김 원장은 “이처럼 새로운 글로벌 의사과학자 육성 전략을 통해 질병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진단 및 치료기술을 개발한다면, 인류 건강 및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Commenti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Center for Integrative Rheumatoid Transcriptomics and Dynam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el: +82-2-2258-7834; Fax: +82-2-2258-7526

Copyright 2017. Center for Integrative Rheumatoid Transcriptomics and Dynamic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